[3편] 부가세는 어떻게 계산될까? (매출세액 – 매입세액 = 납부세액)
안녕하세요. 사장님의 든든한 세금 파트너, ‘세금 읽어주는 아빠’입니다.
지난 편에서 우리는 사업자등록을 통해 공식적인 ‘세금 배달부’가 되는 과정을 배웠습니다. 그렇다면 이런 질문이 생기실 겁니다.
“손님들에게 받은 부가가치세, 그대로 다 내는 건가요?”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절대 아닙니다! 만약 그렇다면 부가가치세는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세금이었을 겁니다. 다행히 우리에게는 내가 쓴 돈에 포함된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, 아주 합리적인 장치가 있습니다. 오늘 그 핵심 계산 원리를 완벽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.

STEP 1. 부가가치세 계산의 황금률: 빼기의 마법
복잡한 세법 책을 전부 외울 필요 없습니다. 부가가치세 계산은 딱 이 한 줄의 공식만 기억하시면 됩니다.
매출세액 – 매입세액 = 최종 납부세액
용어가 조금 어렵나요?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.
- ① 매출세액(賣出稅額)
[1편]에서 배운 내용이죠. 내가 손님들에게 물건을 팔고 대신 받아 둔 부가세입니다. 즉, 국가에 전달해야 할 세금 총액입니다. - ② 매입세액(買入稅額)
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. 내가 사업을 위해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, 다른 사장님에게 이미 지불한 부가세입니다. 즉, 국가로부터 돌려받을 수 있는 세금입니다. - ③ 납부세액(納付稅額)
그래서 최종적으로, 내가 내야 할 세금(매출세액)에서 돌려받을 세금(매입세액)을 뺀 나머지 금액. 이것이 바로 우리가 세무서에 납부할 최종 부가가치세입니다.
결국 부가가치세 절세의 핵심은 무엇일까요? 바로 공제받을 수 있는 ‘매입세액’을 얼마나 꼼꼼하게 챙기느냐에 달려있습니다. 물론 모든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없지만, 부가세 복습에 올라와있는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.
STEP 2. 실제 사례로 계산해보기 (feat. 소품샵 사장님)
백 번의 설명보다 한 번의 계산이 더 쉽습니다. 귀여운 소품샵을 운영하는 ‘지혜 사장님’의 6개월간 장부 내용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. (일반과세자 기준)
- [매출] 6개월간 손님들에게 총 1,100만 원어치 소품을 팔았습니다.
- 공급가액: 1,000만 원
- 매출세액: 100만 원 (👈 지혜 사장님이 손님에게 받아 보관 중인 세금)
- [매입] 장사를 위해 아래와 같이 돈을 썼습니다.
- 판매할 소품을 도매처에서 550만 원에 사 왔습니다.
- 공급가액: 500만 원 / 매입세액: 50만 원
- 포장 용지, 볼펜 등 가게 비품을 11만 원에 샀습니다.
- 공급가액: 10만 원 / 매입세액: 1만 원
- 판매할 소품을 도매처에서 550만 원에 사 왔습니다.

자, 여기서 지혜 사장님이 공제받을 수 있는 총 매입세액은 얼마일까요? 네, 맞습니다. 50만 원 + 1만 원 =
51만 원입니다.

STEP 3. 최종 납부세액 계산하기
이제 황금률에 그대로 대입만 하면 끝입니다.
매출세액 (100만 원) – 매입세액 (51만 원) = 최종 납부세액 (49만 원)
어떤가요? 지혜 사장님은 손님들에게 100만 원의 세금을 받았지만, 본인이 사업을 위해 이미 낸 세금 51만 원을 공제받고, 그 차액인 49만 원만 최종적으로 국가에 납부하면 되는 것입니다.
만약 지혜 사장님이 매입 증빙을 하나도 챙기지 못했다면, 100만 원을 전부 내야 할 뻔했습니다. 무려 51만 원의 돈을 아낀 셈이죠. 이것이 바로 우리가 매입세액과 증빙 서류를 꼼꼼히 챙겨야 하는 이유입니다.

[3편] 핵심 정리 및 실천 과제
오늘의 핵심 용어 & 부가세 계산 공식
- 1. 매출세액: 내가 손님에게 받아 둔 부가세 (내야 할 세금)
- 2. 매입세액: 내가 사업을 위해 미리 낸 부가세 (돌려받을 세금)
- 3. 황금 공식: 매출세액 – 매입세액 = 최종 납부세액
- 4. 절세의 핵심: 공제받을 수 있는 매입세액을 빠짐없이 챙기는 것.
이번 주 실천 과제
오늘부터 사업을 위해 지출한 모든 영수증을 모으는 습관을 시작해 보세요. 거창한 서류함이 아니어도 좋습니다. 깨끗한 신발 상자나 파일 홀더 하나를 **’부가세 보물 상자’**로 정하고, 그곳에 차곡차곡 모아두는 겁니다. 이 작은 습관이 6개월 뒤 사장님의 세금을 결정합니다.
오늘 우리는 부가가치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 핵심 원리를 배웠습니다. 하지만 한 가지 궁금증이 남습니다. “어? 저는 간이과세자인데, 계산법이 다르다고 들었어요!”
네, 맞습니다. 다음 **[4편]**과 **[5편]**에서는 사업자 유형의 양대 산맥,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. 내 사업에 맞는 최적의 선택은 무엇일지, 다음 편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.
#부가가치세, #부가세계산, #부가세신고, #매출세액, #매입세액, #납부세액, #초보사장님, #자영업자세금, #절세방법, #세금공부, #세금읽어주는아빠